잘 안 먹고 잘 안 크는 아기

본문 바로가기
Canada Korea
사이트 내 전체검색

칼럼 잘 안 먹고 잘 안 크는 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Toronto 댓글 0건 조회 1,950회 작성일 23-08-11 11:31

본문

출산 후 아기를 돌보는 과업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먹이는 문제일 것입니다. 대부분 엄마들은 모유 수유를 시도해 보지만 잘 먹고 있는지, 잘 크고 있는지 걱정이 많습니다. 분유 수유처럼 눈금대로 먹는 양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아기가 울기라도 한다면 젖양이 부족한가 생각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럼, 분유 수유를 하는 아기들은 무조건 잘 클까요? 아닙니다.


아기마다 성장 속도는 다르지만, 정상 수준의 성장 가이드라인에 따라 잘 크고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그에 따른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FTT(Failure to Thrive), 성장 실패란 신체적 성장이 또래에 비해 현저히 낮은 아동을 말합니다.


출생 시 체중이 10% 이상 감소하였거나 생후 2주째까지도 출생 시 체중을 회복하지 못하는 경우, 생후 6일 정도에 이행 변을 늦게 보거나 출생 후 1달이 지나도 출생 시 체중의 10% 이하 성장을 보이는 경우로 정의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 아기가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음식 알레르기, 대사 장애, 질병을 포함하여 저체중아로 태어나거나, 구강 구조의 문제로 빠는 힘이 약하고 삼키고 숨 쉬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초보 엄마들에게는 결코 쉽지 않겠지만 아기가 먹는 모습에 신중을 가한다면 성장 장애는 초기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


출생 후 첫 3개월은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첫 1개월 동안 체중 증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신생아 황달이나 장염, 아기의 구강 구조 이상 등으로 못 먹거나 안 먹는 문제가 있는지, 아기의 체중 증가를 잘 관찰해야 합니다.


아기는 태어나서 1년 동안 6.6kg∼7.0kg 정도 체중 증가를 하는데 이 1년 동안 체중 성장의 50%인 3.3kg∼3.5kg 증가가 백일에 이루어집니다. 백일을 한 달로 나누면 1달에 1,000∼1,200g이며 또 한 달을 4주로 나누면 1주에 250∼300g 증가하는 셈입니다.


1주를 7일로 나누면 1일당 33∼35g, 즉 아기 체중이 하루 33g 증가하려면, 아기 체중 × 170ml/Day 바로 이 공식의 답이 우리 아기가 하루 먹어야 하는 총 섭취량이 됩니다.

하루 총량 ÷ 하루 8회~10회 수유 = 1회 양은 아기가 한 번 먹을 때의 양입니다. 그럼, 아기가 먹어야 하는 양을 알았다면 어떤 주의를 하며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까요?


1. 수유할 때는 아기가 먹는 모습 중에서 빨고, 삼키고, 숨 쉬는 과정의 이상이 있는지 관찰합니다. 구강 구조 이상이나 심장 기형 등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2. 젖양 부족이 의심된다면 관대하게 수유하는 것이 우선이고 수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그다음입니다.


3. 모유 수유 시 깊은 젖 물리기와 흠뻑 먹이기 훈련을 합니다. 잠든 아기는 입을 다시 벌리지 않기 때문에 잠들기 전에 반대로 물리기를 시도하여 한 번에 양쪽을 흠뻑 먹일 수 있도록 합니다.


4. 분유 수유 시 아기 구강 구조에 맞는 꼭지와 분비 속도를 확인하여 사용하고 입술이 다 펴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5. 수유 시 문제 발견이나 성장 속도가 저조하다면 반드시 전문가를 찾아갑니다.


백일 이전의 저성장은 1년 동안 지속적인 저성장으로 갈 수 있습니다. 잘 먹은 아기는 잘 자고 잘 크게 되어 있습니다. 부모는 아기가 잘 먹을 수 있게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아기 성장에 맞춰서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고 나아가 이상 징후 발견 시 긴급 조치를 할 수 있는 응급 대처 기술 및 긴급 전화번호도 꼭 숙지해야 합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너무 많이 먹고 체중이 많이 느는 아기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컬럼제공: 모유육아전문가 김수완

이메일 문의: oketaniservices@gmail.com


CBM PRESS TORONTO 8월호, 2023

페이스북 : @cbmtoronto

인스타그램 : @cbm_press_toronto_

Copyright© 2014-2023 CBM PRESS TORONTO All rights reserved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CBM 자막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848건 5 페이지
토론토 뉴스 목록

모든 것이 다 있는 종합예술 – 오페라 (2)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16, 조회: 1626
음악, 편안하게 들읍시다.> 성악가 – 알고 들으면 더욱 재미있는 인생 무대오페라는 항상 스타와 함께했다. 영화와 마찬가지로 오페라에 출연하는 유명 성악가에 의해 그 성공 여부가 결정될 정도로 오페라에서 성악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3대 테너인 파바로티나 도밍고, 카레라스와 ...

IELTS 출제 빈도가 높은 문제 - 라이팅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14, 조회: 1668
아이엘츠 시험의 빈출 주제인, 현대인들이 받고 있는 스트레스와 관련된 추가적 문장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Q. It is said that people’s life now is becoming more and more stressful. What are the causes and how to solve it?...

온타리오에서 비즈니스 하기 (4) - 개인 사업자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13, 조회: 1742
온타리오에서 사업을 시작하실 때 보통 처음으로 고민하시게 되는 사항이 있는데, 사업의 주체를 누구로 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온타리오에서는 크게 3가지 형태로 사업을 시작하실 수 있는데, 개인 사업자 (Sole Proprietorship), 파트너쉽 (partnership), 회사 (Corporation)가 그것입니다....

Reverse Mortgage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12, 조회: 1087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모기지 월페이먼트가 많이 늘어날 뿐 아니라, 모기지를 받아 주택을 구매하거나, Refinancing이 필요한 고객들의 경우 받을 수 있는 모기지 금액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소득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모기지 금액이 결정되는 다른 모기지들에 비해, 소득과 ...

욱하는 부모가 되지 않기 위한 5단계 전략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09, 조회: 1832
육퇴를 하고 하루를 마무리할 때면, 많은 엄마들이 오늘 하루를 보내며 우리 아이에게 감정적으로 화낸 것에 대해서 죄책감을 느끼거나 미안함을 느끼며 마무리 하기도 합니다. 많은 육아 전문가들은 ‘훈육할 때 감정을 배제하고 훈육하라’라고 하는데, 실전 육아에서는 이게 말처럼 쉽지않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

산뜻한 눈매를 위한 '눈' 쁘띠성형 3 포인트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06, 조회: 1648
항상 누군가를 볼 때 우리는 주로 눈을 보고 말하며, 눈은 그 사람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아주 중요한 얼굴 요소 중 하나입니다. 미소를 지어도 눈과 함께 웃으면 더욱 생동감 있는 미소를 주기도 하지요, 하지만 뭔가 푹 꺼진 눈꺼풀과 푹 꺼진 관자놀이는 그림자진 눈매로 인해 더욱 피곤해 보이고 왠지 모르게 사나워 보이기도 합...

노년기 ‘삶의 질’ 높이는 간단한 방법은?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05, 조회: 1043
60세 이후에 가만히 앉아있기보다는 신체적 활동을 늘리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전 연구에서는 삶의 질이 악화될수록 입원·조기 사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바 있습니다.영국 케임브리지대 공중보건과 연구팀은 노년기 신체 활동 수준과 삶의 질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진...

여행 정보 업데이트 (2023년 8월 18일 기준)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9-01, 조회: 1157
> 한국입국시 Q-CODE 의무 제출 폐지7월 15일부터 해외에서 입국할 경우 제출하던 건강상태질문서 또는 Q-CODE 의무작성이 폐지되었습니다. > 캐나다 시민권자 한국입국 시  K-ETA 면제한국방문의 해(2023~2024)를 맞아 관광산업 활성화 지원방안의 일환으로 2023년 4월 1일부...

모든 것이 다 있는 종합예술 – 오페라 (1)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15, 조회: 1903
오페라는 클래식 음악의 꽃이다. 화려한 무대와 웅장한 오케스트라, 그리고 아름다운 목소리의 향연이 펼쳐지는 것이 오페라다. 그러나 왠지 우리에게 가까운 듯하면서도 멀게만 느껴지는 음악 또한 오페라다. 무슨 곡인지는 몰라도 누구나 한 번쯤은 유명 오페라의 아리아를 들어 보았을 것이지만, 아마도 오페라 전곡을 관람해 본 사람...

이른둥이(미숙아)의 원인과 수면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14, 조회: 1014
임신을 처음 확인하고 나면 아이가 태어나는 출산 예정일을 산부인과에서 알려줍니다. 하지만 출산 예정일이라는 것은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예측일 뿐, 출산일을 정하는 것은 엄마나 산부인과 의사가 아닌 배 속에 있는 태아입니다.이른둥이, 미숙아, 혹은 칠삭둥이라고도 많이 하는데, 이 세 가지 단어의 공통점은 바로 주 수를 다...

잘 안 먹고 잘 안 크는 아기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11, 조회: 1951
출산 후 아기를 돌보는 과업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먹이는 문제일 것입니다. 대부분 엄마들은 모유 수유를 시도해 보지만 잘 먹고 있는지, 잘 크고 있는지 걱정이 많습니다. 분유 수유처럼 눈금대로 먹는 양을 확인해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아기가 울기라도 한다면 젖양이 부족한가 생각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럼, ...

말이 늦게 트는 아이, 언어 촉진을 위해 할 수 있는 방법 5가지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10, 조회: 1989
> 첫 번째, 일상 대화나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단어를 연결해 노출시켜 주세요.“바.나.나. 해봐, 엄마 입 보고 바나나. 바~ 나~ 나~!” 하는 식으로 말을 반복해서 여러 번 소리 내보고 아이에게 따라 하라고 시키는 것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오히려 아이가 입을 닫는 상황을...

신생아 배꼽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09, 조회: 1424
탯줄은 태아가 뱃속에서 엄마에게로부터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았던 생명줄입니다. 태아가 태어나면 제 역할을 다한 탯줄은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됩니다. 탯줄이 떨어진 자리에 생기는 것이 바로 배꼽입니다. 이 탯줄이 떨어지는 과정에서 염증이 생기거나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습니다. 탯줄은 혈관이 지나가는 띠 모양으로 생...

온타리오에서 비즈니스 하기 (3) - 한국인이 동업에 실패하는 이유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09, 조회: 1135
토론토에서 사업을 하시는 한국분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꼭 나오는 말이 있습니다. “왜 우리 한국 사람들은 중국인이나 유대인들 같이 동업으로 성공하지 못할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십니다. 한국인의 동업 실패 사례가 많다 보니 캐나다에 진출한 한국계 은행에는 “한국인끼리 동업을 하는...

새로운 투자 기회 – Private Mortgage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08, 조회: 1150
그 끝을 알 수 없는 금리 인상으로 캐나다 기준금리는 5%가 되었습니다. 변동모기지의 기준이 되는 Prime Rate는 7.20%가 되었습니다. 5년 변동금리는 6.80%가량이고, 그나마 많은 고객들이 주로 받았던 3년 고정금리도 6.15% ~ 6.30%가량으로 높아졌습니다. 다시 상승하던 주택 가격이 주춤거리는 이때, ...

뜨거운 햇볕, 그리고 어두워지는 기미, 왜?!

작성자: Toronto, 작성일: 08-07, 조회: 1043
사람의 피부는 환경오염 및 여러 가지 요소로부터 인체를 보호해 주는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백인들의 피부는 흑인들의 피부보다 훨씬 취약합니다. 그 이유는 많은 사람을 색소침착의 늪에 빠지게 하는 멜라닌 세포에 있습니다. 인체 표면에는 약 20억 개의 색소 세포가 존재하고 있는데, 색소 세포의 일부나 전부가 여러 가...
게시물 검색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CBM PRESS TORONTO - 2024년 05월호 CBM TORONTO (Vol.116)
CBM PRESS TORONTO - 2024년 4월호 CBM TORONTO (Vol.115)
CBM PRESS TORONTO - 2024년 3월호 CBM TORONTO (Vol.114)
Copyright © cbmpress.com. All rights reserved.
모바일버전 보기
Developed by Vanple Networks Inc